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5년 국민연금 개정안으로 보험료가 얼마나 오르고, 40년 후 연금은 얼마나 받을까요? 300만 원 소득 기준으로 상세히 계산해보았습니다. 빠르게 확인하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.

     

    💰 보험료 & 연금수령액 계산 확인하기!

    국민연금 개정안이 내게 미치는 영향 확인하기

     

     

    국민연금 개정안으로 300만 원 월급자는 얼마를 더 내고 얼마나 받을까?

     

    2025년 국민연금 개정으로 보험료율이 점진적으로 13%까지 인상되고, 소득대체율도 43%로 고정됩니다. 2025년 기준 월급 300만 원 근로자의 보험료 및 연금수령액을 계산해보았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계산 기준

    • 현재 월급: 300만 원
    • 보험료율: 2025년 9% → 2033년까지 13%로 단계적 인상
    • 소득대체율: 기존 40% → 개정 후 43%로 고정
    • 가입 기간: 40년 가입 기준 (2025~2065년)
    • 기타 가정: 연평균 소득 증가율, 물가상승률 등은 제외하고 단순화하여 계산

     

    보험료율 인상표 (2025~2033년)

     

    적용 연도 보험료율 매월 납입 보험료
    (근로자 부담 50%)
    연간 납입 보험료
    (근로자 부담 50%)
    2025 9% 135,000원 1,620,000원
    2026 9.5% 142,500원 1,710,000원
    2027 10% 150,000원 1,800,000원
    2028 10.5% 157,500원 1,890,000원
    2029 11% 165,000원 1,980,000원
    2030 11.5% 172,500원 2,070,000원
    2031 12% 180,000원 2,160,000원
    2032 12.5% 187,500원 2,250,000원
    2033 이후 13% 195,000원 2,340,000원

     

     

    40년 후 예상 연금 수령액

     

    • 소득대체율 43% 적용
    • 2025년 기준 소득 300만 원 × 43% = 월 129만 원 예상
    • 현재 가치 기준이며, 실제 지급 시 물가연동으로 인상 가능

     

    항목 계산 결과
    예상 연금 수령액 (월) 300만 원 × 43% 1,290,000원
    예상 연금 수령액 (연) 1,290,000원 × 12개월 15,480,000원

     

    국민연금 개정안 이후 보험료는 얼마나 오르고, 연금 수령액은 얼마나 늘어날까요? 기존안과 개정안을 비교해 인포그래픽으로 확인해보세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📊 국민연금 개정 실수령액 비교!

    보험료 부담 vs 연금 수령액, 무엇이 더 클까요?

     

     

    💡 국민연금 실수령액 & 보험료 비교 인포그래픽

     

    🔵 기존 국민연금안

    🪙 월 보험료: 135,000원
    (9% 고정)

    💵 40년 후 월 연금: 1,200,000원
    (소득대체율 40%)

    📅 연간 수령: 14,400,000원

    🔷 2025년 국민연금 개정안

    🪙 월 보험료: 195,000원
    (13% 고정)

    💵 40년 후 월 연금: 1,290,000원
    (소득대체율 43%)

    📅 연간 수령: 15,480,000원

     

     

    📊 그래프로 보는 차이

    💰 월 보험료 부담 비교

     
     

    좌: 기존안 / 우: 개정안

    🏦 월 연금 수령액 비교

     
     

    좌: 기존안 / 우: 개정안

     

     

    ※ 그래프는 상대적 비율로 표현되었으며, 실제 수치는 월 보험료 60,000원 인상 / 월 연금 90,000원 증가로 나타납니다.
    장기적으로 수령 기간(20년 이상)일 경우 개정안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Tip: 본 계산은 단순화된 예시이며, 실제 연금 수령액은 평균소득, 물가상승률, 연금 구조개혁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